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사회학개론 15.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을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세계화, 정보사회, 위험사회 등 21세기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적 흐름을 종합하고, 미래 사회의 도전에 사회학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 1. 세계화(Globalization)와 사회학 1.1. 세계화의 개념과 차원 세계화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국경을 넘어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관계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계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세계화의 주요 차원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 세계화 : 국제 무역의 확대, 글로벌 금융 시장의 통합, 초국적 기업의 성장, 국제 노동 분업의 심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치적 세계화 : 국민국가의 역할 변화, 국제기구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확대,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정치적 세계화는 주권의 개념과 실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적 세계화 : 문화적 상품과 이미지의 글로벌한 순환, 초국가적 미디어의 확산, 글로벌 소비 문화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이는 문화적 동질화와 이질화가 복잡하게 얽힌 과정이다. 기술적 세계화 :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발전, 초국가적 기술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기술적 세계화는 다른 모든 차원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세계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이러한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 구조와 개인 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석한다. 1.2. 세계화 이론과 관점 세계화에 대한 주요 사회학적 이론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세계체제론(World-Systems Theory)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이 발전시킨 이 이론은 세계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영화의 기초 7. 영화사 개괄 VI: 1990년대 이후 현대 영화

1. 1990년대 이후 영화 산업의 변화

1990년대부터 현대까지의 영화는 기술 발전과 산업 구조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흐름을 보였다. 독립영화의 부흥, 디지털 혁명의 시작, 글로벌 영화 시장 확대 등이 주요한 특징이다.

1990년대 이후 영화의 주요 특징

  • 독립영화(Indie Film) 부흥: 저예산으로 제작된 영화들이 영화제와 대체 배급망을 통해 성공
  • 디지털 기술과 CGI의 발전: 영화 제작과 편집 과정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
  • 글로벌 시장 확장: 헐리우드를 넘어 아시아, 유럽, 남미 영화의 국제적 영향력 증가
  • 멀티플렉스 극장과 프랜차이즈 영화의 성장: 대규모 배급을 통한 블록버스터 영화의 지속적인 인기

주요 영화 흐름과 감독들

  1. 미국 독립영화의 성장

    • 감독: 쿠엔틴 타란티노(Quentin Tarantino), 리처드 링클레이터(Richard Linklater), 웨스 앤더슨(Wes Anderson)
    • 대표작: Pulp Fiction (1994), Boyhood (2014), The Royal Tenenbaums (2001)
  2. 디지털 기술과 CGI 영화의 발전

    • 감독: 제임스 카메론(James Cameron), 피터 잭슨(Peter Jackson), 조지 루카스(George Lucas)
    • 대표작: Titanic (1997), The Lord of the Rings 시리즈 (2001~2003), Star Wars: Episode I (1999)
  3. 아시아 영화의 국제적 부상

    • 감독: 왕가위(Wong Kar-wai), 봉준호(Bong Joon-ho), 이안(Ang Lee)
    • 대표작: In the Mood for Love (2000), Parasite (2019),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 (2000)
  4. 애니메이션과 픽사(Pixar) 혁명

    • 주요 작품: Toy Story (1995), Finding Nemo (2003), Frozen (2013)
    • 3D 애니메이션 기술 발전과 서사적 깊이를 더한 작품 증가

2. 1990년대 이후 영화 스타일과 장르

1) 슈퍼히어로 영화(Superhero Films)의 성장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와 DC 확장 유니버스(DCEU)의 등장
  • 대표작: The Dark Knight (2008), Iron Man (2008), Avengers: Endgame (2019)

2) 실화 기반 영화(Biographical & Historical Films)의 인기

  •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다룬 영화 증가
  • 대표작: Schindler’s List (1993), 12 Years a Slave (2013)

3) 공포영화(Horror)의 진화

  • 새로운 스타일의 심리적 공포와 초자연적 호러 등장
  • 대표작: The Blair Witch Project (1999), Hereditary (2018)

4) 스트리밍 플랫폼과 영화의 변화

  •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디즈니+ 등의 스트리밍 플랫폼 성장
  • 대표작: Roma (2018), The Irishman (2019)

3. 영화 감상에서 비평으로 넘어가기

1990년대 이후 현대 영화는 다음과 같은 분석을 통해 깊이 있게 감상할 수 있다.

1) 형식적 요소 분석

  • 디지털 기술과 CGI가 영화 미학에 미친 영향
  • 애니메이션과 실사 영화의 융합 분석

2) 내러티브 분석

  • 비선형적 서사와 다층적 이야기 구조 증가
  • 캐릭터 중심의 심리적 탐구와 감정적 몰입

3) 사회적 의미 분석

  • 글로벌화된 영화 시장에서 각국 영화의 역할 변화
  • 스트리밍 플랫폼이 영화 산업과 소비 방식에 미친 영향

1990년대 이후 영화는 기술과 산업적 혁신을 기반으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가고 있다. 독립영화의 부흥과 글로벌 영화 시장의 확장은 관객에게 더욱 다양한 시청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과 스트리밍의 발전은 미래 영화 산업의 방향을 결정짓고 있다.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