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사회학개론 15.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을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세계화, 정보사회, 위험사회 등 21세기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적 흐름을 종합하고, 미래 사회의 도전에 사회학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 1. 세계화(Globalization)와 사회학 1.1. 세계화의 개념과 차원 세계화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국경을 넘어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관계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계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세계화의 주요 차원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 세계화 : 국제 무역의 확대, 글로벌 금융 시장의 통합, 초국적 기업의 성장, 국제 노동 분업의 심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치적 세계화 : 국민국가의 역할 변화, 국제기구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확대,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정치적 세계화는 주권의 개념과 실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적 세계화 : 문화적 상품과 이미지의 글로벌한 순환, 초국가적 미디어의 확산, 글로벌 소비 문화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이는 문화적 동질화와 이질화가 복잡하게 얽힌 과정이다. 기술적 세계화 :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발전, 초국가적 기술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기술적 세계화는 다른 모든 차원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세계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이러한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 구조와 개인 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석한다. 1.2. 세계화 이론과 관점 세계화에 대한 주요 사회학적 이론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세계체제론(World-Systems Theory)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이 발전시킨 이 이론은 세계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영화의 기초 5. 영화사 개괄 IV: 1960년대 영화의 실험과 새로운 흐름

1. 1960년대 영화 산업의 변화

1960년대는 전후 복구가 끝난 뒤 세계적으로 다양한 영화적 실험이 이루어진 시기였다. 기존의 전통적인 영화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각국에서 독창적인 영화 운동이 등장했다.

1960년대 영화의 주요 특징

  • 전통적 내러티브 구조 파괴: 기존 헐리우드식 이야기 전개 방식에서 벗어나 비선형적 구조와 열린 결말을 선호
  • 영화 언어의 확장: 점프컷, 롱테이크, 핸드헬드 촬영 기법 등의 활용 증가
  • 사회·정치적 메시지 반영: 냉전, 시민운동, 반문화운동의 영향을 받은 작품 등장
  • 상업영화와 예술영화의 분리 심화: 독립영화와 실험영화가 더욱 성장

주요 영화 운동과 감독들

  1. 프랑스 누벨바그 (French New Wave)

    • 감독: 장뤼크 고다르(Jean-Luc Godard), 프랑수아 트뤼포(François Truffaut), 에릭 로메르(Éric Rohmer)
    • 대표작: Breathless (1960), The 400 Blows (1959)
    • 즉흥적인 연출, 비연속적 편집(점프컷), 독립적인 제작 방식 강조
  2. 영국 프리 시네마 (British Free Cinema)

    • 감독: 토니 리처드슨(Tony Richardson), 린지 앤더슨(Lindsay Anderson)
    • 대표작: This Sporting Life (1963), If.... (1968)
    • 노동계층과 사회문제를 다룬 사실적 영화 스타일
  3. 체코 뉴웨이브 (Czech New Wave)

    • 감독: 밀로스 포만(Miloš Forman), 이르지 멘젤(Jiří Menzel)
    • 대표작: Closely Watched Trains (1966), The Firemen’s Ball (1967)
    • 사회적 풍자와 유머를 통한 체제 비판
  4. 일본 뉴웨이브 (Japanese New Wave, 日活ニューウェーブ)

    • 감독: 오시마 나기사(Nagisa Oshima), 스즈키 세이준(Seijun Suzuki)
    • 대표작: Cruel Story of Youth (1960), Branded to Kill (1967)
    • 전통적 일본 영화 문법에서 벗어나 강렬한 시각적 스타일과 급진적 내용 강조

2. 1960년대의 주요 영화 스타일과 장르

1) 실험적 영화 기법

  • 롱테이크(Long Take)와 점프컷(Jump Cut) 사용 증가
  • 비선형적 서사 구조
  • 다큐멘터리적 촬영 기법 적용

2) 반문화적 영화 (Counterculture Cinema)

  • 기존 사회 질서를 비판하는 영화 증가
  • 대표작: Easy Rider (1969), Zabriskie Point (1970)

3) 유럽 아트하우스 영화의 확장

  • 철학적이고 실험적인 작품 다수 등장
  • 대표작: (1963, 페데리코 펠리니), Persona (1966, 잉마르 베리만)

4) 정치적 메시지가 강한 영화

  • 반전(反戰), 혁명, 사회 문제를 다룬 작품 증가
  • 대표작: Battle of Algiers (1966, 질로 폰테코르보), La Chinoise (1967, 장뤼크 고다르)

3. 영화 감상에서 비평으로 넘어가기

1960년대 영화의 혁신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이 필요하다.

1) 형식적 요소 분석

  • 기존 헐리우드식 편집과 누벨바그 스타일 비교
  • 롱테이크와 핸드헬드 촬영이 영화에 미치는 영향

2) 내러티브 분석

  • 전통적 이야기 구조와 비선형적 서사의 차이
  • 열린 결말과 주관적 시점의 활용

3) 사회적 의미 분석

  •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영화에 미친 영향
  • 영화가 사회운동과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1960년대는 영화적 실험이 활발했던 시기로, 영화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예술과 사회적 발언의 도구로 자리 잡은 시대였다. 이 시기의 영화 운동과 실험적 기법들은 현대 영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