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사회학개론 15.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을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세계화, 정보사회, 위험사회 등 21세기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적 흐름을 종합하고, 미래 사회의 도전에 사회학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 1. 세계화(Globalization)와 사회학 1.1. 세계화의 개념과 차원 세계화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국경을 넘어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관계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계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세계화의 주요 차원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 세계화 : 국제 무역의 확대, 글로벌 금융 시장의 통합, 초국적 기업의 성장, 국제 노동 분업의 심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치적 세계화 : 국민국가의 역할 변화, 국제기구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확대,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정치적 세계화는 주권의 개념과 실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적 세계화 : 문화적 상품과 이미지의 글로벌한 순환, 초국가적 미디어의 확산, 글로벌 소비 문화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이는 문화적 동질화와 이질화가 복잡하게 얽힌 과정이다. 기술적 세계화 :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발전, 초국가적 기술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기술적 세계화는 다른 모든 차원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세계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이러한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 구조와 개인 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석한다. 1.2. 세계화 이론과 관점 세계화에 대한 주요 사회학적 이론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세계체제론(World-Systems Theory)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이 발전시킨 이 이론은 세계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미학의 기초 4회차: 중세와 르네상스의 미학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미학은 예술과 철학, 신학이 깊이 연결된 시기였다. 중세 미학은 기독교적 세계관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예술은 종교적 신앙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반면, 르네상스 미학은 인간 중심적 사고와 자연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며, 예술의 표현 방식과 미적 가치관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중세 미학과 기독교적 세계관

중세 미학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이 기독교 신학과 결합하면서 형성되었다. 예술은 신을 찬미하고 신학적 진리를 전달하는 도구로 여겨졌으며, 상징성과 도덕성이 강조되었다.

중세 예술의 특징

  1. 상징주의(Symbolism): 중세 예술에서는 물질적 형상이 신성한 개념을 상징하는 역할을 하였다. 예를 들어, 빛은 신의 존재와 진리를 나타냈으며, 성서 속 장면들이 주요 회화와 조각의 주제가 되었다.
  2. 비현실적 공간 구성: 중세 회화에서는 원근법이 적용되지 않았으며, 인물의 크기는 그들의 영적 중요성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3.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적 개념: 중세 철학자인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는 미(美)를 ‘Clarity(명료성), Integrity(완전성), Proportion(비례)’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정의하며, 신의 조화로운 창조가 예술을 통해 반영된다고 보았다.

르네상스 미학과 인간 중심적 사고

14세기부터 시작된 르네상스는 예술과 철학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일으킨 시기로, 인간의 존엄성과 현실 세계에 대한 탐구가 강조되었다. 과학적 발견과 인문주의(Humanism)의 확산이 예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르네상스 예술의 특징

  1. 원근법(Perspective)의 도입: 중세와 달리 르네상스 화가들은 원근법을 사용하여 공간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Filippo Brunelleschi)는 선원근법을 체계화하며 회화에 혁명을 일으켰다.
  2. 자연주의(Naturalism): 인간의 신체와 자연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강해졌으며,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 미켈란젤로(Michelangelo) 등의 예술가들은 해부학을 연구하여 더욱 정교한 표현을 시도하였다.
  3. 인문주의적 주제: 종교적 주제뿐만 아니라 인간의 감정과 세속적 장면이 예술의 주요 주제로 등장하였다.

중세와 르네상스 미학의 비교

비교 항목 중세 미학 르네상스 미학
세계관     신 중심(Theocentric) 인간 중심(Anthropocentric)
공간 표현     평면적, 상징적 구성         원근법을 이용한 현실적 표현
주요 개념     신학적 상징주의 자연주의, 인문주의
예술 목적     신에 대한 찬미와 교육 인간의 감정과 지식 탐구

르네상스의 미학은 이후 바로크, 고전주의, 낭만주의 등 다양한 예술 사조로 이어지며 현대 예술 이론의 중요한 기초를 마련했다. 이 시기의 예술 혁신은 오늘날까지도 건축, 회화, 조각 등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