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사회학개론 15.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을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세계화, 정보사회, 위험사회 등 21세기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적 흐름을 종합하고, 미래 사회의 도전에 사회학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 1. 세계화(Globalization)와 사회학 1.1. 세계화의 개념과 차원 세계화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국경을 넘어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관계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계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세계화의 주요 차원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 세계화 : 국제 무역의 확대, 글로벌 금융 시장의 통합, 초국적 기업의 성장, 국제 노동 분업의 심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치적 세계화 : 국민국가의 역할 변화, 국제기구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확대,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정치적 세계화는 주권의 개념과 실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적 세계화 : 문화적 상품과 이미지의 글로벌한 순환, 초국가적 미디어의 확산, 글로벌 소비 문화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이는 문화적 동질화와 이질화가 복잡하게 얽힌 과정이다. 기술적 세계화 :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발전, 초국가적 기술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기술적 세계화는 다른 모든 차원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세계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이러한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 구조와 개인 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석한다. 1.2. 세계화 이론과 관점 세계화에 대한 주요 사회학적 이론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세계체제론(World-Systems Theory)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이 발전시킨 이 이론은 세계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영화의 기초 3. 영화사 개괄 II: 무성영화 시대와 유성영화의 시작(1920~1930년대)

1. 무성영화 시대의 절정

1920년대는 무성영화가 가장 발전한 시기로, 영화 기술과 서사적 기법이 정교해지며 다양한 장르가 형성되었다. 이 시기 영화들은 시각적 연출과 배우의 표현력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달했다.

무성영화의 주요 특징

  • 시각적 스토리텔링: 대사 없이 표정, 몸짓, 미장센을 활용한 서사 전달
  • 인터타이틀(자막) 사용: 대화와 내러티브를 보완하기 위한 자막 삽입
  • 편집 기법 발전: 연속 편집과 몽타주 기법의 발전으로 영화적 언어 형성
  • 오케스트라 반주: 실시간 음악 연주를 통한 감정 전달 강화

주요 감독과 작품

  1. 찰리 채플린(Charlie Chaplin)

    • 대표작: The Kid (1921), City Lights (1931)
    • 인간적이고 감성적인 코미디와 사회적 메시지를 결합한 작품
  2. 버스터 키튼(Buster Keaton)

    • 대표작: Sherlock Jr. (1924), The General (1926)
    • 물리적 코미디와 정교한 스턴트 활용
  3. F.W. 무르나우(F.W. Murnau)

    • 대표작: Nosferatu (1922), Sunrise: A Song of Two Humans (1927)
    • 독일 표현주의적 연출과 강렬한 조명 대비 기법 사용
  4.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Sergei Eisenstein)

    • 대표작: Battleship Potemkin (1925)
    • 소비에트 몽타주 기법을 발전시켜 편집의 혁신적 가능성을 제시

2. 유성영화(토키)의 등장

1927년, The Jazz Singer의 개봉으로 유성영화(Talkies)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영화 산업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기존의 무성영화 스타일에서 대사와 사운드를 적극 활용하는 새로운 영화 형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유성영화의 기술적 변화

  • 광학 사운드 트랙 개발: 필름 자체에 사운드를 기록하는 방식 보편화
  • 마이크와 사운드 스테이지 사용: 배우의 대사 녹음 가능
  • 연기 스타일 변화: 과장된 몸짓에서 자연스러운 대화 중심으로 변화
  • 음악과 효과음 활용: 영화의 분위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

유성영화의 발전과 장르 변화

  • 뮤지컬 영화의 부흥: 42nd Street (1933), The Broadway Melody (1929)
  • 갱스터 영화의 시작: Little Caesar (1931), Scarface (1932)
  • 코미디와 로맨틱 장르 확립: It Happened One Night (1934)

3. 영화 감상에서 비평으로 넘어가기

무성영화와 유성영화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영화사의 흐름을 파악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감상하고 분석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

1) 형식적 요소 분석

  • 무성영화에서의 표현 방식과 유성영화에서의 변화를 비교
  • 카메라 움직임과 편집 방식의 차이 분석

2) 내러티브 분석

  • 유성영화 도입 이후 대사와 사운드가 이야기 구조에 미친 영향
  • 무성영화에서 자막을 사용한 내러티브 전달 방식

3) 사회적 의미 분석

  • 유성영화의 등장이 영화 산업과 배우의 연기 방식에 미친 영향
  • 무성영화 시대의 시각적 스타일과 표현주의적 경향 분석

무성영화는 영화 언어의 기초를 형성하였으며, 유성영화의 도입은 영화의 표현 방식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현대 영화 제작 방식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영화 감상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된다.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