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사회학개론 15.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을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세계화, 정보사회, 위험사회 등 21세기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적 흐름을 종합하고, 미래 사회의 도전에 사회학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 1. 세계화(Globalization)와 사회학 1.1. 세계화의 개념과 차원 세계화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국경을 넘어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관계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계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세계화의 주요 차원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 세계화 : 국제 무역의 확대, 글로벌 금융 시장의 통합, 초국적 기업의 성장, 국제 노동 분업의 심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치적 세계화 : 국민국가의 역할 변화, 국제기구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확대,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정치적 세계화는 주권의 개념과 실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적 세계화 : 문화적 상품과 이미지의 글로벌한 순환, 초국가적 미디어의 확산, 글로벌 소비 문화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이는 문화적 동질화와 이질화가 복잡하게 얽힌 과정이다. 기술적 세계화 :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발전, 초국가적 기술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기술적 세계화는 다른 모든 차원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세계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이러한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 구조와 개인 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석한다. 1.2. 세계화 이론과 관점 세계화에 대한 주요 사회학적 이론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세계체제론(World-Systems Theory)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이 발전시킨 이 이론은 세계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미국 역사 기본 3. 독립전쟁의 배경과 전개 (1750년대~1783년)


미국 독립전쟁(1775~1783)은 영국 식민지들이 독립을 쟁취하고 미국이라는 새로운 국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다. 하지만 독립전쟁은 갑자기 발생한 것이 아니라, 18세기 중반부터 쌓여온 식민지와 영국 본국 간의 갈등이 누적된 결과였다. 이번 글에서는 독립전쟁이 일어나게 된 배경과 주요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3.1 독립전쟁의 배경

3.1.1 프렌치 인디언 전쟁과 영국의 세금 정책

1754년부터 1763년까지 북미 대륙에서는 프렌치 인디언 전쟁(French and Indian War) 이 벌어졌다. 이는 영국과 프랑스가 북미 식민지 지배권을 놓고 벌인 전쟁으로, 원주민 일부가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기 때문에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 전쟁에서 승리한 영국은 북미에서 프랑스의 영향력을 제거하는 데 성공했지만, 전쟁 비용으로 인해 심각한 재정난을 겪게 되었다.

전쟁 후 영국 정부는 설탕법(1764년), 인지세법(1765년), 타운센드법(1767년) 등을 통해 식민지에 과세를 강화했다. 영국은 식민지 방어를 위한 비용 충당을 이유로 들었지만, 식민지인들은 이에 강하게 반발했다. "대표 없는 과세(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라는 구호가 등장하며 저항 운동이 시작되었다.

3.1.2 보스턴 차 사건과 본격적인 갈등

1773년, 영국 정부가 동인도회사의 차 판매를 독점하도록 허용하는 차법(Tea Act) 을 시행하자, 식민지인들은 더욱 반발했다. 이에 보스턴에서 보스턴 차 사건(Boston Tea Party) 이 발생했다. 식민지 저항 세력인 ‘자유의 아들들(Sons of Liberty)’이 영국 선박에 실려 있던 차를 바다에 던져버린 사건으로, 이는 영국과 식민지 간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영국은 이에 대한 응징으로 강제법(Intolerable Acts, 1774년) 을 제정하여 보스턴 항구를 폐쇄하고, 매사추세츠 식민지의 자치를 제한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오히려 이는 식민지인들의 반감을 더욱 키웠고, 제1차 대륙회의(1774년) 가 소집되는 계기가 되었다.

3.2 독립전쟁의 발발과 주요 전개 과정

3.2.1 렉싱턴과 콩코드 전투 (1775년)

1775년 4월 19일, 영국군이 매사추세츠 렉싱턴과 콩코드에서 식민지 무기고를 압수하려 하자, 민병대(Minutemen) 가 이에 저항하며 첫 번째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이를 "미국 혁명의 시작(The Shot Heard 'Round the World)" 이라고 부르며, 본격적인 독립전쟁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3.2.2 독립선언서 발표 (1776년 7월 4일)

전쟁이 본격화되자 식민지 지도자들은 영국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선언하기로 결정했다. 1776년 7월 4일, 토마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이 주도하여 작성한 독립선언서(Declaration of Independence) 가 발표되었으며, 이는 미국이 공식적으로 독립국가로서 선언된 순간이었다. 독립선언서에는 자유, 평등, 국민 주권의 원칙 이 강조되었다.

3.2.3 주요 전투와 전쟁의 흐름

  • 사라토가 전투(1777년): 미국군이 영국군에 큰 승리를 거두며, 프랑스가 미국을 지원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 발리 포지 겨울(1777~1778년): 조지 워싱턴 장군이 이끄는 대륙군이 혹독한 겨울을 보내며 군사 훈련을 강화했다.
  • 요크타운 전투(1781년): 조지 워싱턴과 프랑스군이 영국의 콘월리스 장군을 포위하여 항복을 받아내며 사실상 전쟁이 끝났다.

3.2.4 파리 조약 (1783년)

전쟁이 끝난 후, 1783년 파리 조약(Treaty of Paris) 이 체결되면서 영국은 미국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 이 조약을 통해 미국은 미시시피 강 동쪽의 영토를 확보하며 새로운 국가로서의 기틀을 마련했다.

3.3 마무리

미국 독립전쟁은 단순한 무력 충돌이 아니라, 식민지인들이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국가를 세우려는 강한 의지의 결과였다. 프랑스와 스페인 등의 지원도 독립을 가능하게 만든 중요한 요소였으며, 이 전쟁을 통해 미국은 민주주의와 공화정의 기초를 다지게 되었다. 독립 이후, 새로운 국가의 기반을 다지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으며, 이는 곧 미국 헌법 제정 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