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사회학개론 15.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을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세계화, 정보사회, 위험사회 등 21세기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적 흐름을 종합하고, 미래 사회의 도전에 사회학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 1. 세계화(Globalization)와 사회학 1.1. 세계화의 개념과 차원 세계화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국경을 넘어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관계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계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세계화의 주요 차원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 세계화 : 국제 무역의 확대, 글로벌 금융 시장의 통합, 초국적 기업의 성장, 국제 노동 분업의 심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치적 세계화 : 국민국가의 역할 변화, 국제기구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확대,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정치적 세계화는 주권의 개념과 실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적 세계화 : 문화적 상품과 이미지의 글로벌한 순환, 초국가적 미디어의 확산, 글로벌 소비 문화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이는 문화적 동질화와 이질화가 복잡하게 얽힌 과정이다. 기술적 세계화 :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발전, 초국가적 기술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기술적 세계화는 다른 모든 차원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세계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이러한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 구조와 개인 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석한다. 1.2. 세계화 이론과 관점 세계화에 대한 주요 사회학적 이론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세계체제론(World-Systems Theory)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이 발전시킨 이 이론은 세계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영화의 기초 2. 영화사 개괄 I: 초기 영화(1895~1920년대)

1. 초기 영화의 탄생

영화는 19세기 말, 사진과 애니메이션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초기 영화는 단순한 기록에서 출발했으며, 이후 내러티브 영화로 발전하게 된다.

초기 영화의 주요 특징

  • 기록 영화에서 스토리텔링으로: 초기 영화는 단순한 일상의 장면을 기록하는 데 집중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스토리를 가진 영화가 제작되기 시작했다.
  • 기술적 발전: 카메라 기술과 필름 편집 기술이 발전하면서 영화의 표현 방식이 확장되었다.
  • 무성영화 시대: 유성영화가 등장하기 전까지, 배우들의 연기와 자막(인터타이틀)을 활용한 내러티브가 주를 이루었다.

영화의 탄생과 선구자들

  1. 뤼미에르 형제(Auguste & Louis Lumière)

    • 1895년, 세계 최초의 공개 영화 상영 (Workers Leaving the Lumière Factory)
    • 사실적이고 다큐멘터리적 접근
  2. 조르주 멜리에스(Georges Méliès)

    • A Trip to the Moon(1902) 등 환상적이고 내러티브 중심의 영화 제작
    • 특수효과와 세트 디자인 활용
  3. 에디슨과 미국 영화

    • 토머스 에디슨(Thomas Edison)의 키네토스코프(Kinetoscope)와 블랙 마리아(Black Maria) 스튜디오
    • 에드윈 S. 포터(Edwin S. Porter)의 The Great Train Robbery(1903), 최초의 편집 기법 활용 영화

2. 무성영화 시대와 주요 영화 운동

1) 무성영화(Silent Film)의 미학

  • 배우의 과장된 연기와 시각적 연출
  • 흑백 촬영과 강한 명암 대비
  • 인터타이틀(자막) 사용

2) 독일 표현주의(German Expressionism)

  • 극단적인 조명과 왜곡된 세트 디자인을 특징으로 함
  • 대표작: The Cabinet of Dr. Caligari(1920), Nosferatu(1922)

3) 소비에트 몽타주(Soviet Montage)

  • 영화 편집을 통해 감정을 극대화하는 기법 발전
  • 대표작: Battleship Potemkin(1925,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4) 초기 할리우드와 스튜디오 시스템의 등장

  • 대규모 영화 제작과 배급 시스템 형성
  • 대표 스튜디오: 파라마운트, MGM, 유니버설 등

3. 영화 감상에서 비평으로 넘어가기

초기 영화는 현대 영화의 기초를 형성하였으며, 이를 감상하고 분석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

1) 형식적 요소 분석

  • 편집 기술의 발전 (The Great Train Robbery에서 평행 편집 활용)
  • 조명과 세트 디자인이 내러티브에 미치는 영향

2) 내러티브 분석

  • 초기 영화에서 스토리텔링의 방식 변화
  • 다큐멘터리적 접근 vs. 판타지적 접근

3) 사회적 의미 분석

  • 영화가 산업과 사회 변화에 미친 영향
  • 무성영화 시대의 배우 연기 스타일과 문화적 특성

영화는 단순한 기술적 혁신에서 출발했지만, 점차 예술적 표현과 산업적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초기 영화의 발전 과정은 오늘날의 영화 제작 방식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현대 영화 감상에 큰 도움이 된다.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