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사회학개론 15.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을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세계화, 정보사회, 위험사회 등 21세기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적 흐름을 종합하고, 미래 사회의 도전에 사회학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 1. 세계화(Globalization)와 사회학 1.1. 세계화의 개념과 차원 세계화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국경을 넘어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관계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계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세계화의 주요 차원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 세계화 : 국제 무역의 확대, 글로벌 금융 시장의 통합, 초국적 기업의 성장, 국제 노동 분업의 심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치적 세계화 : 국민국가의 역할 변화, 국제기구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확대,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정치적 세계화는 주권의 개념과 실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적 세계화 : 문화적 상품과 이미지의 글로벌한 순환, 초국가적 미디어의 확산, 글로벌 소비 문화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이는 문화적 동질화와 이질화가 복잡하게 얽힌 과정이다. 기술적 세계화 :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발전, 초국가적 기술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기술적 세계화는 다른 모든 차원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세계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이러한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 구조와 개인 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석한다. 1.2. 세계화 이론과 관점 세계화에 대한 주요 사회학적 이론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세계체제론(World-Systems Theory)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이 발전시킨 이 이론은 세계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영화의 기초 13: 영화 이론 II – 페미니즘, 퀴어, 문화연구


1. 현대 영화 이론이란?

현대 영화 이론은 영화가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분석하는 학문이다. 특히, 페미니즘 영화 이론, 퀴어 영화 이론, 문화연구는 영화 속 젠더, 성 정체성, 사회적 이데올로기 등을 연구하며 영화의 재현 방식을 탐구한다.

현대 영화 이론의 주요 접근 방식

  • 페미니즘 영화 이론(Feminist Film Theory): 영화 속 여성의 재현과 젠더 권력 구조 분석
  • 퀴어 영화 이론(Queer Film Theory): 성소수자 캐릭터와 퀴어 내러티브 연구
  • 문화연구(Cultural Studies): 영화가 사회적 가치, 이데올로기, 관객 반응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연구

2. 페미니즘 영화 이론(Feminist Film Theory)

페미니즘 영화 이론은 영화가 여성을 어떻게 재현하는지, 그리고 영화 산업 내에서 젠더 권력 구조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주요 개념

  • 남성의 시선(Male Gaze): 로라 멀비(Laura Mulvey)의 개념으로, 여성이 영화 속에서 남성 관객을 위한 시각적 대상이 되는 방식 분석
  • 여성 주체성(Women’s Agency): 영화 속 여성 캐릭터가 수동적인 존재인지, 능동적인 주체로 묘사되는지 탐색
  • 젠더 역할과 클리셰(Gender Roles & Stereotypes): 전통적인 여성성과 남성성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그려지는지 연구

▶ 대표작: Thelma & Louise (1991) – 전통적인 여성 역할을 거부하고 주체적인 캐릭터를 그린 대표적 페미니즘 영화


3. 퀴어 영화 이론(Queer Film Theory)

퀴어 영화 이론은 영화에서 성소수자(Queer) 캐릭터와 정체성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분석하는 학문이다. 이는 주류 영화 속 이성애 중심적 서사(Heteronormativity)를 비판하고, 다양한 성 정체성과 욕망을 조명한다.

주요 개념

  • 이성애 규범성(Heteronormativity): 이성애 중심적 가치관이 영화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 분석
  • 코딩된 퀴어 캐릭터(Queer Coding): 성소수자를 명시적으로 드러내지 않지만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예: 고전 디즈니 영화의 악당 캐릭터)
  • 퀴어 리딩(Queer Reading): 성소수자 관객이 기존 영화를 퀴어한 시각으로 해석하는 방식

▶ 대표작: Moonlight (2016) – 흑인 퀴어 남성의 성장과 정체성 탐구를 섬세하게 그린 작품


4. 문화연구와 영화(Cultural Studies & Film)

문화연구는 영화를 단순한 예술작품이 아니라, 사회적·정치적 맥락 속에서 형성된 문화적 산물로 바라본다. 이를 통해 이데올로기, 계급, 인종, 대중문화와 영화의 관계를 분석한다.

주요 개념

  • 이데올로기와 영화(Ideology & Film): 영화가 특정한 정치적·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 연구
  • 포스트식민주의 영화(Postcolonial Cinema): 제국주의와 식민지 역사 속에서 영화가 형성한 인종적 재현 방식 분석
  • 대중문화와 영화(Popular Culture & Film): 영화가 소비문화 및 대중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표작: Black Panther (2018) – 포스트식민주의적 요소를 통해 아프리카 문화와 정체성을 조명한 작품


5. 영화 이론을 활용한 감상 방법

영화를 이론적으로 분석할 때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1) 페미니즘적 분석

  • 영화 속 여성 캐릭터가 어떻게 묘사되는지 탐색
  • 예: Wonder Woman (2017) – 강인한 여성 히어로 캐릭터의 등장과 기존 여성 히어로 영화와의 차이점 분석

2) 퀴어적 분석

  • 영화 속 성소수자 캐릭터가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는지 검토
  • 예: Call Me by Your Name (2017) – 퀴어 정체성을 다루는 방식과 감정적 서사 분석

3) 문화연구적 분석

  • 영화가 특정 시대적·사회적 가치관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탐색
  • 예: Parasite (2019) – 계급 갈등과 빈부격차를 영화적 장치로 표현하는 방식 연구

6. 마무리

페미니즘 영화 이론, 퀴어 영화 이론, 문화연구는 영화가 단순한 오락 매체를 넘어 사회적 의미와 권력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도구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론들을 적용하면 영화를 보다 깊이 있게 감상하고 해석할 수 있으며, 영화 속 재현과 서사가 어떻게 사회적 가치와 연결되는지를 탐색할 수 있다.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