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사회학개론 15.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을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세계화, 정보사회, 위험사회 등 21세기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적 흐름을 종합하고, 미래 사회의 도전에 사회학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 1. 세계화(Globalization)와 사회학 1.1. 세계화의 개념과 차원 세계화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국경을 넘어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관계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계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세계화의 주요 차원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 세계화 : 국제 무역의 확대, 글로벌 금융 시장의 통합, 초국적 기업의 성장, 국제 노동 분업의 심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치적 세계화 : 국민국가의 역할 변화, 국제기구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확대,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정치적 세계화는 주권의 개념과 실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적 세계화 : 문화적 상품과 이미지의 글로벌한 순환, 초국가적 미디어의 확산, 글로벌 소비 문화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이는 문화적 동질화와 이질화가 복잡하게 얽힌 과정이다. 기술적 세계화 :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발전, 초국가적 기술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기술적 세계화는 다른 모든 차원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세계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이러한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 구조와 개인 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석한다. 1.2. 세계화 이론과 관점 세계화에 대한 주요 사회학적 이론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세계체제론(World-Systems Theory)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이 발전시킨 이 이론은 세계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미학의 기초 11회차: 대륙철학의 미학적 전개 – 현상학, 해석학


20세기 대륙철학에서 미학은 예술 작품과 관람자의 관계를 탐구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현상학(Phenomenology)과 해석학(Hermeneutics)은 예술과 경험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며, 감각과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에드문트 후설(E. Husserl),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 Gadamer), 모리스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 질 들뢰즈(G. Deleuze) 등은 미적 경험이 단순한 관조를 넘어 신체적, 감각적, 해석적 참여를 포함한다고 주장했다.


현상학과 미적 경험

현상학은 인간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는 철학적 방법론으로, 미적 경험 또한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후설(E. Husserl)의 현상학과 예술

  1. 지향성(Intentionality) 개념:
    • 모든 의식은 어떤 대상에 대한 ‘지향성’을 갖는다.
    • 예술 감상은 단순한 수동적 경험이 아니라, 작품과 관람자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2. 본질 직관(Essence Intuition):
    • 미적 경험은 특정한 사물을 넘어 본질을 직관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 예술 작품은 감각적 요소를 초월하여 존재의 본질을 드러낸다.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와 신체적 경험

  1. 몸의 지각(Embodiment)과 미적 경험:
    • 인간의 경험은 신체적 감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미적 경험 역시 신체를 통해 구성된다.
    • 회화나 조각과 같은 예술은 시각적 요소뿐만 아니라 촉각적·공간적 감각을 통해 의미를 전달한다.
  2. 지각과 의미 형성:
    •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은 단순히 형태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과 감정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것이다.

해석학과 예술 해석

해석학은 예술의 의미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관람자의 경험과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강조한다.

가다머(H. Gadamer)의 해석학(Hermeneutics)

  1. 예술과 해석의 관계:
    • 예술 작품은 단순히 감상하는 대상이 아니라, 끊임없이 해석되고 재해석되는 의미의 장(field)이다.
    • 관람자는 작품과의 ‘대화’를 통해 의미를 새롭게 형성한다.
  2. 해석의 열림(Openness):
    • 예술 작품은 특정한 하나의 의미에 고정되지 않고, 관람자와 시대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이는 예술이 정적인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해석의 과정임을 의미한다.

감각과 몸, 미적 경험의 확장

질 들뢰즈(G. Deleuze)는 미적 경험을 단순한 의미 해석이 아니라 감각적이고 신체적인 방식으로 확장하여 이해하였다.

들뢰즈(G. Deleuze)의 미학적 사고

  1. 감각의 강도(Intensity)와 미적 경험:
    • 예술 작품은 논리적 의미보다는 감각적 강도를 통해 관객에게 영향을 미친다.
    • 이는 전통적인 예술 감상 방식에서 벗어나 신체적·정서적 반응을 강조하는 것이다.
  2. 영화와 새로운 지각:
    • 들뢰즈는 영화가 새로운 형태의 지각을 제공하며, 단순한 이미지의 연속이 아니라 감각적 흐름(sensation flow)으로 경험된다고 주장했다.

현대 미학에서의 의미

현상학과 해석학은 현대 미학에서 예술과 경험의 관계를 보다 깊이 이해하는 중요한 이론적 틀이 되었다. 미적 경험이 단순한 관조적 행위가 아니라 신체적·해석적·감각적 참여를 포함한다는 점은 오늘날 다양한 예술 형식(퍼포먼스 아트, 인터랙티브 미디어, 몰입형 경험 디자인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