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사회학개론 15.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을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세계화, 정보사회, 위험사회 등 21세기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적 흐름을 종합하고, 미래 사회의 도전에 사회학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 1. 세계화(Globalization)와 사회학 1.1. 세계화의 개념과 차원 세계화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국경을 넘어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관계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계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세계화의 주요 차원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 세계화 : 국제 무역의 확대, 글로벌 금융 시장의 통합, 초국적 기업의 성장, 국제 노동 분업의 심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치적 세계화 : 국민국가의 역할 변화, 국제기구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확대,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정치적 세계화는 주권의 개념과 실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적 세계화 : 문화적 상품과 이미지의 글로벌한 순환, 초국가적 미디어의 확산, 글로벌 소비 문화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이는 문화적 동질화와 이질화가 복잡하게 얽힌 과정이다. 기술적 세계화 :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발전, 초국가적 기술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기술적 세계화는 다른 모든 차원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세계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이러한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 구조와 개인 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석한다. 1.2. 세계화 이론과 관점 세계화에 대한 주요 사회학적 이론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세계체제론(World-Systems Theory)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이 발전시킨 이 이론은 세계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미학의 기초 10회차: 분석적 미학(Analytical Aesthetics)과 언어철학


분석적 미학(Analytical Aesthetics)은 언어철학과 논리적 분석을 통해 예술의 본질과 의미를 탐구하는 철학적 접근법이다. 20세기 중반 이후 주요 철학자들은 예술의 정의 문제와 해석의 한계를 논의하면서, 예술을 철학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을 발전시켰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아서 단토(Arthur C. Danto)와 넬슨 굿맨(Nelson Goodman)이 있으며, 이들은 예술이 단순한 시각적 경험을 넘어 사회적, 개념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술의 정의 문제: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을 정의하는 문제는 오랫동안 미학에서 논쟁의 대상이었다. 전통적으로 예술은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활동으로 여겨졌지만, 현대 예술에서는 이러한 정의가 충분하지 않다.

아서 단토(Arthur C. Danto)와 “예술의 종말” 논쟁

단토는 『예술의 세계(The Artworld)』와 『예술의 종말(The End of Art)』에서 예술의 정의를 철학적으로 탐구하였다. 그는 다음과 같은 개념을 제시했다.

  1. 예술은 맥락에 따라 정의된다:

    • 예술 작품은 단순한 물리적 대상이 아니라, 문화적 맥락과 예술 담론 속에서 의미를 얻는다.
    •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샘(Fountain)』과 같은 개념미술은 전통적 예술 개념을 확장했다.
  2. 예술의 종말(The End of Art) 논쟁:

    • 단토는 예술이 특정한 양식적 발전을 마쳤으며, 이제 개념적 탐구의 영역으로 이동했다고 주장했다.
    • 예술은 단순한 미적 감상 대상이 아니라, 철학적 해석을 필요로 하는 개념적 구조로 변화했다.

넬슨 굿맨(Nelson Goodman)과 상징 및 표상의 문제

굿맨은 『예술의 언어들(Languages of Art)』에서 예술을 ‘기호 체계’로 분석하며, 상징(Symbol)과 표상(Representation)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했다.

굿맨의 핵심 개념

  1. 예술은 기호 체계로 작동한다:

    • 예술은 일종의 언어이며, 각 예술 형식은 고유한 기호 체계를 통해 의미를 전달한다.
    • 음악, 회화, 문학은 각각 독립적인 기호 시스템을 통해 소통한다.
  2. 표상(Representation)과 추상화:

    • 전통적으로 회화는 현실을 재현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굿맨은 표상이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특정한 규칙과 기호를 따르는 과정이라고 보았다.
    • 추상미술 역시 일정한 기호 체계를 통해 의미를 전달한다.

미적 개념의 언어적 토대와 한계

분석적 미학은 예술을 언어적 맥락에서 분석하지만, 이러한 접근법에는 한계도 존재한다.

  1. 미적 경험의 비언어적 특성:

    • 예술 감상은 논리적 분석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감각적, 정서적 요소를 포함한다.
  2. 언어와 예술 해석의 다원성:

    • 동일한 예술 작품도 문화적 배경과 개인적 경험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분석적 미학의 현대적 영향

분석적 미학은 현대 예술 비평과 개념미술(Conceptual Art), 뉴미디어 아트(New Media Art)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예술의 정의와 역할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중요한 토대를 제공했다. 이 접근법은 예술을 단순한 미적 대상으로 한정짓지 않고, 철학적, 사회적, 개념적 맥락 속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