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추천 가젯

사회학개론 15.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

현대 사회학의 동향과 종합을 다루는 이번 강의에서는 세계화, 정보사회, 위험사회 등 21세기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이론적 흐름을 종합하고, 미래 사회의 도전에 사회학이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모색한다. 1. 세계화(Globalization)와 사회학 1.1. 세계화의 개념과 차원 세계화는 현대 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국경을 넘어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 관계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계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여러 차원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적 과정이다. 세계화의 주요 차원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 세계화 : 국제 무역의 확대, 글로벌 금융 시장의 통합, 초국적 기업의 성장, 국제 노동 분업의 심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세계화는 신자유주의적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치적 세계화 : 국민국가의 역할 변화, 국제기구와 초국가적 거버넌스의 확대,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정치적 세계화는 주권의 개념과 실천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왔다. 문화적 세계화 : 문화적 상품과 이미지의 글로벌한 순환, 초국가적 미디어의 확산, 글로벌 소비 문화의 등장 등이 포함된다. 이는 문화적 동질화와 이질화가 복잡하게 얽힌 과정이다. 기술적 세계화 :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발전, 초국가적 기술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기술적 세계화는 다른 모든 차원의 세계화를 가속화한다. 세계화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은 이러한 다양한 차원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고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 구조와 개인 생활에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석한다. 1.2. 세계화 이론과 관점 세계화에 대한 주요 사회학적 이론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세계체제론(World-Systems Theory) :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Wallerstein)이 발전시킨 이 이론은 세계를 중심부, 반주변부, 주변부로...

미학의 기초 13회차: 비서구(동양) 미학과 비교미학


서구 중심의 미학이 예술과 아름다움을 분석적이고 개념적으로 접근해왔다면, 동아시아 미학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감성적이고 직관적인 접근 방식을 중시한다. 중국, 일본, 한국의 전통 미학은 예(禮), 선(善), 선(禪) 등의 개념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는 서구 미학과 비교했을 때 독특한 관점을 제공한다. 본 강의에서는 동양 미학의 핵심 개념을 살펴보고, 서구 미학과의 비교를 통해 동·서양 미학의 교차점과 차이점을 탐구한다.


동양 미학의 주요 개념

1. 예(禮)와 선(善)의 미학

  • 중국 유교 전통에서는 예(禮)와 선(善)이 미적 가치와 결합하여 조화로운 인간 관계와 사회 질서를 강조하였다.
  • 미적 판단은 단순한 심미적 감각이 아니라 윤리적·도덕적 요소와 결합되어야 한다는 관점이 강하다.

2. 선(禪) 미학과 무위(無爲)

  • 불교와 도교의 영향을 받은 선(禪) 미학은 인간의 내면적 깨달음과 직관을 중시한다.
  • 무위(無爲)는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움의 미학으로, 서구의 형식적 아름다움과는 다른 개념이다.

3. 자연미(自然美)와 여백(餘白)의 미학

  • 자연미는 인공적인 조형미보다 자연스러움을 중요시하는 개념이다.
  • 동아시아 회화에서는 여백(餘白)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이는 서양의 구체적이고 완결된 형식과 대조된다.


동양 화론(畵論), 문예론과 서양 형식주의 비교

  • 동양 화론에서는 붓의 운용, 먹의 농담, 필선의 흐름 등이 미적 판단의 중요한 요소이다.
  • 서양 형식주의가 작품의 구체적인 형태와 구성을 강조하는 반면, 동양 미학은 분위기와 정신적 울림을 중시한다.
  • 대표적으로 ‘기운생동(氣韻生動)’ 개념은 동양 회화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형식보다는 감성적 표현을 강조하는 특징을 갖는다.


일상예술로서의 미학: 다도(茶道)와 꽃꽂이(生け花)

  • 일본 다도(茶道)는 단순한 차 마시는 행위가 아니라, 공간, 절제, 조화 등의 요소가 결합된 예술적 행위로 본다.
  • 일본 꽃꽂이(生け花, 이케바나) 또한 서양의 정형화된 플라워 디자인과 달리, 공간과 형태의 균형을 중시한다.
  • 이러한 일상예술 개념은 서구의 미적 경험이 주로 작품 감상에 초점을 두는 것과 차이를 보인다.


“아름다움”과 “선함”의 유기적 결합

  • 동양 미학에서는 아름다움과 선함이 분리되지 않으며, 도덕적이고 철학적인 가치와 연결된다.
  •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사상에서도 볼 수 있듯이, 참된 아름다움은 인위적 장식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조화 속에서 발견된다.
  • 이는 서양 미학이 미적 판단을 독립적인 영역으로 다루는 것과 차별되는 지점이다.


현대 미학에서의 동양 미학의 영향

  • 서구 현대 미학에서도 동양의 개념들이 점차 수용되며, 미니멀리즘, 명상적 예술, 공간적 미학 등에 영향을 미쳤다.
  • 오늘날 동서양 미학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미학적 경계를 넘는 새로운 시도들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동양 미학은 단순한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삶의 방식과 철학적 사유와 결합된 독특한 미적 관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서구 미학과의 비교를 통해 더욱 깊이 이해될 수 있으며, 현대 예술과 디자인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장 많이 본 글